본문 바로가기

organic taste

PLU 내가 먹은 오렌지 껍질에 붙어있는 스티커에 정체는?

'PLU' 이 스티커는 왜  나의 바나나에 붙어 있을까?

 

 

grocery market에서 자주 볼 수 있는 Chiquita바나나

 

우리는 자주 마켓에서 채소나 과일을 살 때마다 타원형의 스티커를 보게 된다. 심지어 하나하나 모두 붙여져 있기 때문에 과일을 씻을 때마다 일일이 떼어줘야 하는 번거로움을 주는 이 스티커는 과연 무엇일까?

 

dried fruit이 되어가는 플럼에서 발견한 PLU

 

 

이 스티커는 'PLU'라고 불리며 'Price Look-Up'의 약자다. 소비자에게 상품의 아이덴티티를 알려주고자함이 목적이다. 이 코드를 통해서 상품이 유전자가 조작되었는지 짐작할 수도 있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를 전해준다.

 

**

- 숫자 '9'로 시작하는 5개의 숫자의 코드가 있다면 그것은 '유기농' 제품임을 뜻한다.

 

-숫자 '3' 이나 '4'로 시작하는 4개의 숫자 코드가 있다면 아마 그저 평범하게 재배되었음을 뜻한다, 그러니 농약을 대부분 쳤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

 

이 black plum에는 원산지가 칠레이며 밑에는  '4040'이라고 되어있는 시리얼 번호가 적혀있다.

이것은 유기농 제품은 아니고 아마 농약을 쳐서 재배된 플럼일 것이다. 그러니 반드시 깨끗하게 세척해서 먹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숫자 '8'로 시작하는 5개 숫자의 코드가 있다면 그것은 유전자 조작 식품을 뜻한다.

 

사실 옥수수, 콩, 카놀라, 목화나 호박 등의 제품이 유전자 조작이 되어서 재배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식품에서는 생각보다 많이 접하게 되지는 않는다.

 

문제는 대부분 60-70 퍼센트의 가공식품이나 식료품이 유전자 조작 재료를 포함해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즉, 당신이 유전자 조작이 되지 않은 바나나 하나를 먹는다 한들, 그 외에 자연스럽게 접하는 식료품이 유전자가 조작된 재료를 써서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장기적인 섭취가 나타내는 여러 부작용이 생각보다 많이 알려져있지 않지만 많은 사람들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등 작고 큰 여러 건강 문제를 지니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많은 과일과 채소를 봐왔지만 거의85% 이상 아니 95% 이상의 식료품들이 대부분 '4'로 시작하는 시리얼 코드를 가지고 있었다.

 

바나나도 사과도 블루베리도 농약을 쳐서 재배되어 팔리고 있다니 정말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식품들은 구하기가 이렇게나 어려운 것일까? 특히 껍질을 까고 먹지 않는 과일들은 베이킹 소다로 세척하여 먹을 수밖에 없지만 100% 농약을 제거하지는 않기 때문에 씁쓸하기는 마찬가지이다. 내가 아는 지인 중 한 명은 농약 알레르기가 있기 때문에 진정한 유기농 제품이 아니면 과일 섭취가 불가능하여 여름에 시원한 수박도 먹지 못한다. 이 케이스가 극단적이라고 생각할지 모르나, 농약에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꽤나' 많다. 그때 그 이야기를 듣고 마켓에서 쇼핑을 할 때면 가끔씩 그 지인이 생각이 난다. 다행히 나는 몸이 예민하지 않고 어느 정도 적응을 해서 일반 과일이나 채소를 섭취하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지만, 나와 같지 않은 경우를 가진 사람이 꽤나 많다는 것이 우리는 정말 안전한 식품을 섭취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도 느껴진다.

 

우리 인간은 언제 농약과 유전자 조작으로부터 해방이 될까.

PLU의 정체를 알고나서 매번 마주 보게 되는 이 현실에서, 이 문제를 진지하게 고찰하고 해결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나뿐만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과연 그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어떤 일을 하고 있을지 더 깊은 조사를 해봐야겠다.

 

 

참고로 아래 사이트를 방문하면 유전자 조작되지 않은 상품을 소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안전한 먹거리로 몸을 건강하게 지키고 싶은 사람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다.

https://nongmoshoppingguide.com/

 

Non-GMO Shopping Guide

 

nongmoshoppingguid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