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삶에 명상이 필요할 때
지음/ 편역/ 출판사
★★★★★
명상은 당신을 다른 사람이나 새로운 사람으로 바꾸는 것과 관계없고 심지어 더 나은 사람으로 바꾸는 것과도 관계가 없다. 명상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이 형성되는 방식과 이유를 자각하고 이해하는 법을 훈련하며 그 과정에서 균형 잡힌 건강한 시각을 얻는 것이다. 그렇게 건강한 시각을 갖게 되면 단신이 삶에서 원하는 어떤 변화든 실현될 가능성이 훨씬 커지는 것이다.
명상이라는 말을 들으면 가부좌를 한 수도승과 어떤 재난에도 마음의 평온을 유지할 것만 갓은 초월적 정신을 지닌 수행자가 떠오른다. 점차 많은 사람들이 '명상'을 시작한다고 하지만 이런 고정관념은 깨기 힘들다. 나도 명상을 매일 새벽에 하고 있지만, 이런 나의 일상을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기에는 재밌는 이야기나 맛있는 음식을 보다는 지극히 '개인적'이고 주변 사람들의 반응을 되뇌어 보자면 아직 생소한 일이다.
명상은 신비로운 것이 아니다. 그저 지금을 느끼고 과거와 미래에 머무르지 않고 지금 이순간을 몰입하는 훈련이다. 현대인들은 넘쳐나는 정보를 수집하고 할당량을 수행해내기 위해 두뇌를 풀가동시킨다. 그래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그 순간이 여지간히 어색하다., 여기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란, 일 외에 개인 활동은 물론 독서와 유튜브 시청도 아닌, 고민조차 하지 않는 머리를 완전히 비우는 시간이다. 유튜브 시청 10분은 짧더라도 명상 10분이란 버겁기만 하다.
나도 처음에는 첫 5분 동안에도 수많은 생각이 들었고 이런 생소한 경험이 나를 불안하게까지 했다. '나 지금 뭐하는 거지?' 우리의 뇌는 무엇이든 간에 하지 않은 일을 시도하면 경고음을 낸다. "이건 또 뭐야? 난 해본 적 없는 일이야! 그만둬!"
헤드스페이스는 지금 이순간 어떤 감정이 일든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만족감이나 충족감, 즉 마음의 근원적인 평온과 평화를 묘사하는 말이다.... 헤드스페이스는 본질적으로 어떤 생각이 들고 어떤 감정이 생기든 그에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명상을 하면, 심지어 처음 시도할 때도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다... 하지만 그 근원적인 만족감은 반드시 경험하게 되고 모든 게 괜찮다는 것을 그냥 알게 되는 지점에는 반드시 이른다.
영화 <세얼간이>를 본 사람은 "알 에즈 웰 (All is well)"이라는 대사를 알 것이다. 이 짧은 어구는 영화가 끝나고 일상에 돌아와서도 자꾸 머리를 맴돌게 한다. 중독적이라기보다는 영화의 한 장면에 이 대사가 나왔을 때 관객으로서 느꼈던 간접적으로 느꼈던 마음의 평화를 잊지 못해서 일 것이다. 유쾌한 상황이 아닌데도 나오는 이 대사는 묘한 쾌감을 준다. "맞아, 사실 모든건 괜찮아." 이런식으로 말이다. 흔들리지 않는 만족감과 평온을 이 짧은 대사로 표현한 것이다.
명상을 하려면 꿈과 야망을 버려야 한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있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무언가를 성취하려는 열망은 인간의 타고난 특성이며 인생의 목적과 방향을 정하는 것은 지극히 중요한 일에 속한다. 오히려 명상을 이용하면 그러한 목적과 방향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지원할 수 있다. 지속적인 행복감과 헤드 스페이스는 열망이나 야망에 좌우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상이 직접적으로 깨우쳐주기 때문이다.
명상으로 인해 생각이 생겨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 말이다... 하지만 그것은 너의 마음이 일상적으로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명료하고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이지.
명상에 몰두하다보면 머리가 비어짐과 동시에 평온을 느끼다가도 어디선가 불쑥 썩 기억하고 싶지 않은 사건들이나 대화들이 떠오른다. "아... 명상을 안 했더라면 괜히 이 때문에 기분이 다운되지 않았을 텐데... "라고 죄책감을 느끼곤 하는데 '명상이 제일 되지 않을 때가 가장 성장하는 날이다'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다. 즉 이제껏 없었던 나의 머릿속과 감정에 정면으로 바라보는 도전을 하고 있다는 것이고 이 과정이 결코 쉽지 않은 만큼 마음에 불란이 생기면서 동시에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나 스스로와 마주 대하고 깨닫는것, 이것이 외부를 바라보는 스스로의 시각이 어떠했는지 또한 알아채고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는 첫걸음인 것이다.
명상은 내가 나의 감정을 제3자, 즉 관찰자로서 지켜봄으로써 거리를 확보하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 한다. 때로는 무슨 생각을 한 건지 잊어버리기도 한다.. 내 감정에 집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흘려보내진 것이다.
명상을 하다보면 긍정적 시각의 중요성을 알게되고 부정적인 생각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고 애쓰는 나의 모습을 발견한다. 하지만 감정이란 '나'가 아닌 분리된 존재인만큼 조절한다는 것이 쉬운 것도 아니다.
"명상을 많이 하고 그 구동이가 훤히 보일 때조차도 매번 구덩이에 빠지는 것을 막지 못하거든요..."
바로 이것이었다, 난 빠지지 않으려고 하는데 감정 구렁텅이에 빠지는 내 모습. 내가 갖고 있던 문제를 작가도 한 때 갖고 있었고 이에 대한 해답을 스승이 고스란히 풀어주는 대목에 감동스럽지 않을 수가 없었다.
"마음이란 게 원래 그렇다. 구덩이가 빤히 보여도 습관이 너무 강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빠지는 것이다. 그러나... 꾸준히 명상을 하다보면 너는 구덩이를 훨씬 더 일찍 알아차리고 피할 수 있는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될거다... 물론 명료함과 깨어있음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그 길의 끝자락에 애초부터 구덩이가 없었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도 찾아올 것이다."
인간은 행복과 기쁨도 필요하지만 두려움과 불안 또한 필요하다. 하지만 부정적인 감정에 사로잡혀 스스로를 가두는 습관을 삼가야한다. 감정에 휩싸이는 이유는 내가 휩싸이는지도 모르는 사이에 순식간으로 빨려들어가기 때문이다.방어적인 습관이 그렇게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내 감정을 인정하되 사로잡히지 않고 분리해서 바라보는 연습이 필요하고 그것을 도와주는 것이 명상이다. 그렇게 일정시간동안 집중해서 내면을 바라보는 연습을 하면 이것이 습관이 되어 따로 시간을 내지 않아도 계속 의식이 깨어있게된다.
그럼 그 감정에서 더 일찍 깨어나와 사실은 '나'라는 존재는 온전함을 알게될 것이다. 그것이 지속이 되면 어떠한 상황에라도 '온전하고 행복한 나'가 이미 존재한다는 깨달음도 얻게 될 것이다.
► 이런 사람에게 추천합니다.
-
명상중 오히려 마음의 갈피를 찾지 못하는 분은 자신에게 맞는 방향성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명상은 신비로운 것이 아닌 자신을 바라보는, 깨어있는 연습임을 깨달아가는 작가의 다큐같습니다. 그래서 물 흐르듯 읽히면서도 개인적으로 풀리지 않았던 마음의 문제가 작가도 똑같이 겪었던 단지 '일개의' 문제였음을 알게 되고 위로받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특히 고질적인 문제를 혼자 안고 있던 분에게 읽어보길 추천합니다.
'libr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1) | 2020.12.22 |
---|---|
될 일은 된다: 내맡기기 실험이 불러온 엄청난 성공과 깨달음 (0) | 2020.05.12 |
최강의 레시피 (Bulletproof: The cookbook) (0) | 2020.04.19 |
더 해빙(The Having), 부와 행운을 끌어당기는 힘 (0) | 2020.04.09 |
미술사 아는 척하기 (0) | 2020.04.03 |